과학자들이 새치가 나는 이유의 핵심물질을 발견했습니다.

반응형

인간의 머리카락 색은 원래 하얀색이었습니다.

그런데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 생성된 '멜라닌'이라는 색소에 의해 염색되는 것입니다.

 

멜라노사이트(=멜라닌세포)는 모낭에 위치해 있습니다.
각각의 머리카락이 자랄 때 머리카락에 멜라닌이 주입됩니다.

 

나이가 들면 멜라노사이트의 활동이 느려지다가 차츰 사라져
생성되는 색소의 양이 감소해 흰머리가 발생합니다.

 

그런데 비교적 젊은 나이에 새치는 왜 나는 걸까요?

건강한 성인의 경우 유전적 요인이 원인 중 하나입니다.
하지만 질환 또는 스트레스를 겪은 후 새치가 왜 발생하는지는 현재까지 알 수 없습니다.

 

최근 미국국립보건원 및 앨라바마대학 연구진이 예상치 못한 것에서 몇가지 단서를 발견했습니다.

 

인터페론과 새치


우리 몸이 병원균의 침입을 받으면 체내 면역시스템이 가장 먼저 반응합니다.

 

'비특이정 면역반응'으로도 불리는 이 과정은 모든 병원균을 재빠르게 공격합니다.

 

모든 세포는 침입원을 인지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것이 발휘될 때
'인터페론(interferon)'이라는 물질을 분비합니다.

이 단백질은 바이러스 복제를 막는 유전자의 활동을 증가시킴으로써
다른 세포가 조치를 취할 수 있게끔 알려줍니다.

 

인터페론은 또한 다른 면역세포에 작용하는데, NK세포와 대식세포에도 작용합니다.

연구진은 머리카락 색깔과 인터페론 간의 관계를 우연히 발견했다고 합니다.

 

새치와 면역체계 간의 교집합인 물질은 'MITF'라는 전사인자입니다.
이 단백질은 멜라노사이트 내에 세포활동의 대부분을 조절합니다.

 

연구진은 MITF가 멜라노사이트의 인터페론 반응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습니다.

 

멜라노사이트 줄기세포 내에서 MITF가 반응을 통제하지 못하자 실험쥐의 머리카락이 희게 변했습니다.

 

또한 새치가 나는 성향을 가진 실험쥐에서, 면역 신호가 활성화되면 새치가 훨씬 빠르게 자랐습니다.

 

이 보고내용은 PLoS Biology 저널의 온라인판에 발간됐습니다.

 

연구의 한계

 

연구는 인과관계를 규명하지 못했으며 동물연구 결과가 인간에게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

 

 

반응형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